본문 바로가기
진로상담

진로사회학습이론 - 진로의사결정 요인의 상호 작용

by LaVida 2020. 12. 18.

진로적성 상담 과정을 수강하면서 들었던 내용을 정리하면서, 스스로 정리도 다시 한번 하고,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진로사회학습이론의 4가지 의사결정 구성 요인을 앞에서 살펴보았습니다.

2020/11/15 - [진로상담] - 진로사회학습이론

 

진로사회학습이론

진로사회학습이론은 진로 상담에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한 진로 이론이며, 진로 의사 결정에 있어 학습의 영향을 강조한 것입니다. Bandura는 인간의 성격은 학습 경험에 의해 형성

mylifegoal.tistory.com

진로의사결정 4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 결과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진로의사결정 4가지 요인의 상호작용 결과

 

1) 자기 관찰 일반화

자기 자신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얻어진 자신에 대한 일반화를 의미합니다. 자신에 대한 관찰은 능력, 역량, 흥미, 가치 등에 대한 것입니다. 개인은 학습 경험의 결과로 자신의 태도와 기술에 대해 일반화합니다. 이런 자기 관찰 일반화는 확연하게 드러나기도 하고, 내면에 머물기도 합니다. 일반화는 이전 학습 경험의 결과로 생성되며 새로운 학습경험 결과에 영향을 줍니다.

 

2) 세상에 대한 일반화

사람들은 주위 사람들과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을 관찰합니다. 학습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세계관을 형성하고 일반화하며, 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합니다. 직업에 대한 일반화는 도구적 학습경험과 연합적 학습경험을 통해 생겨납니다. (도구적 학습경험과 연합적 학습경험은 이전 글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직업정보를 접하는 것과 실제 경험은 세상에 대한 일반화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3) 진로의사결정에 사용되는 과제 접근기술

개인은 진로 의사 결정에 그들이 공부하거나 일하며 배운 과제 접근기술을 적용합니다. 직업 결정 과정에서 사용하는 수행 능력에 대한 작업 습관, 정서적 반응을 포함한 정신적 측면, 지각과 사고 과정, 문제에 대한 적응이 포함됩니다. 진로의사결정에는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일반화가 적용되기 때문에,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일반화에 사용하는 과제 접근기술의 조합이 진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 직업 결정에서 중요한 과제 접근 기술

- 중요한 결정 상황을 인식하는 능력

- 결정이나 일을 처리하기 쉽게 하거나 실제적으로 정확히 할 수 있는 능력

- 자기 관찰과 세상에 대한 일반화를 검토하고 정확히 평가하는 능력

- 다양한 대안에 대한 생성 능력

- 대안에 필요한 정보수집 능력

- 어떤 정보가 가장 믿을만하며 정확하고 관련이 있는지 결정하는 능력

'진로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로 특성에 대한 검사  (0) 2021.01.17
CASVE 주기  (0) 2021.01.13
진로사회학습이론  (0) 2020.11.15
Gottfredson 진로타협이론  (0) 2020.10.26
Super의 진로발달이론 - 진로 자아개념  (0) 2020.10.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