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로상담

CASVE 주기

by LaVida 2021. 1. 13.

진로적성 상담 과정을 수강하면서 들었던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서, 스스로 정리도 다시 한번 하고,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은 인지과학 분야의 이론으로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며 학습하는가에 대한 이론입니다. 진로에 있어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은 개인이 진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진로 관련 정보 처리 및 사고 과정이 진로 의사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에서 진로 의사 결정 과정을 설명하는 핵심 내용이 CASVE 주기입니다.

 

● Communication (의사소통)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자각합니다. 이 자각은 외적/내적 단서들로부터 야기됩니다. 외적 단서는 의미 있는 사람으로부터 발생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사건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내적 단서는 본인 내부의 부정적 정서 인식, 회피 행동, 생리적 변화를 포함합니다. 이전에는 부인해 왔던 것을 인정하는 것과 함께 문제에 봉착하며,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 사이의 차이를 자각하게 됩니다. 

 

● Analysis (분석)

자기에 대한 정보와 직업 정보 영역을 검토하는 단계입니다. 자신의 문제 발생 원인을 찾습니다. 자신의 가치, 흥미, 선호 조건, 가정환경 등을 재검토하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새로운 직업 정보를 탐색하고 학습하는 일 역시 이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 Synthesis (종합)

고려하고 있는 대안들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의 목적은 모든 대안을 빠뜨리지 않으면서 동시에 너무 과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정교화(확장)와 결정화(구체화) 두 가지 작업을 진행합니다.

 

정교화(확장)는 가능한 많은 가능성 있는 대안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진로 문제에 대해 가능한 많은 대답을 찾기 위해 자유롭게 생각을 발산하는 과정입니다. 브레인스토밍 같은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정화(구체화)는 정교화의 반대로 재정문제, 능력과 같은 실질적 사항을 고려하여 잠정적인 몇 가지 대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개인의 가치, 흥미, 기술, 선호도와 맞지 않는 대안을 삭제하며 목록을 축소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의 결과 대안은 3-5개 정도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 Valuing (평가)

정리된 대안들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과정입니다. 대안들이 가능성 있는 것인지 판단 후 순서를 정하게 됩니다. 현재의 나에게 가장 현명한 선택은 무엇인지 등의 스스로에 대한 질문과 구직 기회, 자격, 교육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 Execution (실행)

자신의 선택을 실행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단계입니다. 선택된 대안을 실행하기 위한 계획과 전략을 수립합니다. 때때로 교육이나 훈련 과정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