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적성 상담 과정을 수강하면서 들었던 내용을 정리하면서, 스스로 정리도 다시 한번 하고,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적성 >>
● 개념
적성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이 학자에 따라 다양합니다.
- 어떤 과제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개인의 특수한 능력 또는 잠재력
- 어떤 과제에서 한 개인의 능력 발휘의 가능성을 나타내 주는 특성
- 어떤 특정 활동이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이 어느 정도인가를 의미하는 것
- 어떤 직업이나 일에 있어 장래의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는 심리적 특성
종합해보면, 어떤 특정 분야의 과제나 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개인의 능력이며, 그 능력의 발현 가능성이라 볼 수 있습니다.
● 특징
적성은 일반적 지능과 구분되며, 특정 활동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특수 능력을 개념화한 것입니다.
적성 개념에는 인간의 타고난 능력과 소질, 학습된 능력이 모두 포함됩니다.
적성은 숙달될 수 있는 개인의 지적 능력 외에 그 능력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흥미, 관심도 포함합니다.
적성은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직무 만족이나 성취에 영향을 줍니다.
● 적성 검사
적성 검사는 특정 학업 과정이나 직업에 대한 앞으로의 수행 능력과 적응을 예측하는 검사입니다. 적성 검사는 진학이나 직업 상담에 활용하고자 개발된 일반 적성검사와 수학, 과학, 예체능 분야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특수 적성검사로 분류됩니다.
<< 흥미 >>
● 개념
흥미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좋아하거나 좋아하지 않는 선호도와 관심의 경향을 의미합니다. Super는 흥미를 알아보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습니다.
1) 표현된 흥미: 어떤 활동에 대해 '좋다'. '싫다'로 간단히 말하도록 요청한다.
2) 조작된 흥미: 활동에 대한 질문을 하거나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 관찰한다.
3) 조사된 흥미: 다양한 활동에 대해 좋고 싫음을 묻는 표준화된 검사를 완성하고, 검사에서 개인 반응이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흥미와 유사점이 있는지 비교한다.
● 흥미 검사
1) 스트롱(Strong) 직업흥미검사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대체로 비슷한 흥미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만들어졌습니다. 일반 직업분류, 기본 흥미 척도, 개인 특성 척도로 나뉘어 있습니다.
일반 직업분류는 홀랜의 직업선택이론이 반영된 RIASEC 6개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 흥미 척도는 일반 직업분류 하위 척도로 더 세분화되어 특정 주제에 대해 다룹니다. 개인 특성 척도는 개인이 일반적으로 어떻게 학습하고 일하며 놀고 생활하는지 탐색하는 것으로 직업 환경이나 환경과 흥미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2) 홀랜드 진로탐색 검사
홀랜드의 직업 성격유형 이론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직업 성격 유형을 실재형(R), 탐구형(I), 예술형(A), 사회형(S), 기업형(E), 관습형(C)으로 측정합니다.
직업적 성격, 흥미, 유능감은 기질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형성됩니다.
'진로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업군 (0) | 2021.01.20 |
---|---|
진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소개 (0) | 2021.01.19 |
CASVE 주기 (0) | 2021.01.13 |
진로사회학습이론 - 진로의사결정 요인의 상호 작용 (0) | 2020.12.18 |
진로사회학습이론 (0) | 2020.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