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로상담

Parsons 특성-요인이론 :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by LaVida 2020. 10. 14.

Parsons 특성-요인 이론은 Parsons로부터 시작된 이론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요건의 관계 이해를 통한 직업 선택이 주 내용입니다.

 

특성이라고 정의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정의됩니다.

 

● 적성

적성은 미래에 얼마나 잘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견과 비슷한 부분이 있습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적성, 수리적성, 사고 적성, 공간지각 적성, 과학기계 적성 등의 적성 검사를 통해 지금 당장의 수행 능력은 아니지만 미래에 대한 수행 능력 예측입니다.

 

● 능력

능력은 현재 어떤 일을 수행하며 보이는 개인의 능력 특성으로 성취도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보통 능력은 지능, 학습경험, 동기와 같은 개인적 요인과 연관이 있습니다. 지능의 경우, Gardner의 다중지능 개념이 많이 적용됩니다. 

 

<< Gardnerd의 다중 지능 개념 >>

1) 언어 지능

 -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능력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잘 표현하고, 탁월한 언어적 기억력을 보입니다.

2) 논리 수학 지능

 - 숫자나 규칙, 명제 등 상징체계를 잘 익히고, 그와 관련된 문제를 잘 해결해 내는 능력입니다.

3) 공간 지각 지능

 - 선, 도형, 그림, 입체 설계 등 시각적-공간적 체계를 잘 파악하고 활용하는 능력입니다.

4)  신체 운동 지능

 - 동작, 춤, 운동 등의 상징체계를 쉽게 익히고 창조하는 능력입니다.

5) 음악 지은

 - 음악적 형태를 지각하고, 구별하고, 변형하거나 표현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6) 내적 성찰 지능

 - 자기 자신을 잘 느끼고, 감정을 잘 인지하고 구별하며, 자신과 관련된 문제를 잘 풀어내는데 필요한 능력입니다.

7) 대인 관계 지능

 -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바람을 잘 이해하고, 그에 적절하게 잘 반응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8) 자연 과학 지능

 - 동/식물 또는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그 분류에 전문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 흥미

적성과 능력이 잘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면, 흥미는 호기심, 재미와 관련된 것입니다. 무언가를 하면서 느끼게 되는 즐거움은 그 일을 잘하는 능력과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가치

개인이 바라는 궁극적인 목표 같은 것으로, 직업을 통해서 추구하는 목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을 의미합니다. 직업 선택에 있어 어디에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 선택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성격

 개인의 독특한 특징으로 성격유형검사인 MBTI 등으로 유형을 나누기도 합니다. 에너지 방향(외향-내향), 인식 기능(감각-직관), 판단 기능(사고-감정), 생활양식(판단-인식)의 4가지 지표의 조합으로 16가지 유형으로 구분합니다. 

 

댓글